본문 바로가기

야생초(목)544

박주가리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용담목 > 박주가리과 > 박주가리속 > 덩굴성여러해살이.학명 : Metaplexis japonica (Thunb.) Makino.꽃말 : 먼 여행. 작은 표주박을 닮은 열매가 익으면 갈라지는 모습을 박이 쪼개졌다고 하여 박쪼가리에서박주가리가 되었다고 하는 설이 있다.박주가리는 '나중'을 뜻하는 'Meta'와 '짜다, 역다'의 뜻을 가지고 있는 'plexis'의 합성어인 'Metaplexis'를 속명으로 가지고 있다.자라면서 엉키는 덩굴식물인 박주가리에게 정말 어울리는 이름 같다. 줄기를 자르면 젖같은 흰 액체가 나오고, 잎은 마주나기하며 도톰하다. 꽃은 엷은 자색으로 7~8월에 피는데 여름과 어울리지 않게 복슬복슬한 솜옷을 입고 있다.한방에서는 박주가리의 전초 또는 뿌리를 나.. 2023. 8. 22.
환삼덩굴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쐐기풀목 > 삼과 > 환삼덩굴속 > 덩굴성한해살이풀. 학명 : Humulus japonicus Sieboid & Zucc. 꽃말 : 엄마의 손, 엄마는 못잊어. 꽃은 엷은 황록색이며 7-8월에 피고 암수딴그루로서 수꽃은 5개씩의 꽃받침조각과 수술이 있으며 길이 15-25cm의 원뿔모양꽃차례에 달린다. 암꽃은 짧은 이삭꽃차례에 달리고 포는 꽃이 핀 다음 커지며 뒷면과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난상 원형이며 길이 7-10mm로서 몇 개의 장상 맥이 있다. 종자로 번식하며 어린순은 식용한다. 특히 농촌에선 악명이 높은 식물로, 번식력이 매우 왕성해 급격히 증가한다. 덩굴로 뻗어나가 주변 식물을 고사시키기도 한다. 가시 때문에 맨손으로 처리하기도 힘들다. 이 같은 특성 때문에 2019년.. 2023. 8. 22.
왜모시풀 쐐기풀목 > 쐐기풀과 > 모시풀속 > 다년생초. 학명 : Boehmeria longispica Steud. 꽃말 : 잎은 난상 원형, 길이 12-19㎝, 끝이 약간 길게 뾰족하고,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짧은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기, 꽃은 자웅일가로 7∼9월에 연한 녹색을 핀다. 유사종 • 좀깨잎나무 : 낙엽활엽반관목, 잎은 마주나기, 꽃은 암수한그루이지만 드물게 암수딴그루도 있으며 7~8월에 핀다. 나무껍질은 붉은빛이 돌며, 가지가 월동하면서 끝부분이 말라 죽는다. • 개모시풀 : 줄기에 둔한 능선이 있고, 짧은 털이 밀생한다. • 거북꼬리 : 줄기는 한 군데에서 여러 대가 나오며, 사각형, 붉은빛이 돈다. 잎은 길이 8-20㎝, 점첨두이다. 2023/8/15. 광릉. 850*566. 좀깨잎나무 2.. 2023. 8. 16.
여우주머니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쥐손이풀목 > 대극과 > 여우주머니속 > 한해살이풀. 학명 : Phyllanthus ussuriensis Rupr. & Maxim. 꽃말 : 암꽃과 수꽃이 같은그루위에 생기는 꽃(일가화)으로 6-7월에 피며 황록색이다. 유사종 : 여우구슬 : 전체가 붉은빛이 돌고 줄기 밑부분에 도란상 삼각형의 잎 몇 장이외에는 모두 비늘 모양의 잎이다. 꽃은 적갈색이다. 여우주머니는 여우구슬(P. urinaria L.)에 비해서 잎은 줄기와 가지에 모두 달리며, 잎몸은 피침형으로서 더욱 길고, 열매자루가 있으므로 구분된다. 2023/8/15. 광릉 850*566. 여우구슬 / 자료용펌. 2023. 8. 16.
상사화의 종류 (분홍. 진노랑. 붉노랑. 제주. 백양꽃 등 광릉수목원에서 데려 온 녀석들이다) ▼분홍상사화속씨식물 > 외떡잎식물강 > 백합목 > 수선화과 > 상사화속 >  다년생초.학명 : Lycoris squamigera Maxim.꽃말 : 이룰수없는 사랑. 잎은 봄철에 나오고 넓은 선형이며 길이 20~30cm, 폭 18~25cm로서 연한 녹색이고 6-7월에 잎이 마른다.은하수의 오작교에서 견우와 직녀가 상봉하는 음력 칠월칠석이면 나타나는 애달픈 운명의 꽃이 있다.아무리 기다려도 그리운님은 만나지 못하고 사그러드는 꽃이 있다. 상사화다.사그러든 상사화는 알뿌리에 영양을 저장하였다가 겨울을 이겨내고 이듬해 봄이되면 싹을 틔운다. 꽃이 그리워하던 그님이다.그님은 초여름까지 계속 자라며 안간힘을 쓰지만 끝내 꽃을 피우지 .. 2023. 8. 10.
자주꽃방망이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초롱꽃목 > 초롱꽃과 > 다년생초. 학명 : Campanula glomerata var. dahurica Fisch. ex kerGawl. 꽃말 : 천사, 기도. 자주색꽃이 줄기끝에 방망이처럼 모여서 피기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표고 500m 이상 되는 지역에서 자라며 낙엽이 많이 떨어진곳, 반 그늘에서 키 40~1m정도 자란다. 2023/8/4. 만항재. 850*566 700d 2023. 8. 7.
광나무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무푸레나무목 > 쥐...과 > 쥐똥나무속 > 상록활엽관목. 학명 : Ligustrum japonicum. 꽃말 : 강인한 마음. 망상. 한국원산으로 개화기는 7~8월이다. 중북부지방에선 잘 만날 수 없는 남쪽나무로 남해안에서부터 섬지방을 거쳐 제주도까지 자연상태로 야산에서 흔히 만날 수 있다, 손가락세개정도크기의 잎은 도톰하고 표면은 왁스성분이 많아서 광이 난다. 열매는 (쥐똥나무열매와닮음) 민간약으로 간과 신장기능을 좋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2023/7/29. 홍릉. 850*566. 2023. 7. 29.
난티나무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쐐기풀목 > 느릅나무과 > 느릅나무속 > 큰키나무.학명 : Ulmus laciniata (Trautv.) Mayr꽃말 :  수피는 약용, 어린잎은 나물로 먹으며, 햇가지와 잎을 가축먹이로 하고, 껍질로 종이와 밧줄을 만든다.잎은 어긋나며 끝이 뾰족한 것도 있지만 보통은 3-7갈래로 꼬리처럼 갈라진다. 가장자리에 예리한 겹톱니가 있다. 잎 양면과 잎자루에 잔털이 있다. 꽃은 4-5월에 잎보다 먼저 핀다. 열매는 시과, 편평하며, 넓은 난형이다.느릅나무(U. davidiana Planch. var. japonica (Rehder) Nakai)에 비해 잎의 끝은 3-7개의 결각상으로 갈라지고, 열매의 윗부분이 아닌 중앙에 종자가 있다.      2023/07/01.    홍릉     .. 2023. 7. 4.
쉬나무 운향목 > 운향과 > 쉬나무속 > 낙엽 소교목. 학명 : Evodia daniellii 꽃말 : 장마철인 7월과 8월에 꽃을 많이 피워 꿀벌들의 배고픔을 해소시킨 밀원식물로 암수딴그루이지만 가끔 양성화를 이루는 경우도 있다. 암수꽃 모두 꽃잎을 펼치지 않음이 특징이다. 씨앗은 삭과로 검은색으로 익으며 개미처럼 생겼다. 쉬나무의 열매를 기름을 짜서 등불과 머리기름, 기관차의 연료로 사용했다. 밀원식물로 꿀벌들의 대량실종사태를 막을 수 있는 수종으로 연구됨.(국립산림과학원) 아까시나무 ha당 38kg,(5/10~27일). 쉬나무 400kg,(7/18~8/8일). 헛개나무 301kg,(6/18~30일). 광나무 301kg, 이나무 128kg, 아왜나무 110kg, 꽝꽝나무 107kg, 피나무 95.1kg, 이.. 2023. 6.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