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초(목)546

등대꽃나무(방울철쭉)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진달래목 > 진달래과 > 등대꽃속 > 낙엽관목.학명 : Enkianthus campanulatus꽃말 : 사랑의 기쁨. 일본 원산의 재배식물이며, 잎의 모양, 화관의 모양과 크기, 암술대의 길이에 따라 몇 개의 변종으로 분류된다. ◆진달래과 집안◆진달래, 철쭉(연달래), 산철쭉, 겹산철쭉, 백철쭉, 영산홍, 꼬리진달래, 황철쭉, 만병초,자산홍, 방울철쭉, 단풍철쭉, 왜철쭉(일본철쭉), 아잘레아(서양철쭉), 칼미아. 유사종 : 단풍철쭉(흰등대꽃) 2022/5/15. 홍릉 850*566 2021/5/9. 홍릉 850*566 2019/5/25. 900*600 2018/5/1.. 2024. 1. 16.
개나리 속씨 > 쌍떡잎식물강 > 물푸레나무목 > 물푸레나무과 > 개나리속 > 낙엽활엽관목.학명 : Forsythia koreana 꽃말 : 희망. 깊은 정. 이른봄의 감격. 달성. 일본강점기시절 월남 이상재선생은 일본순사들이 강의장을 빙둘러 경계를 하고 있을 때 그 모양을 보고 오늘은 개나리가 만발했다는 비꼬는 말을 했다고 한다. 일본순사를 나리라 불렀던것에 접두사 개자를 붙인것이다. 개나리 2018/04/01. 홍릉. 성전환을 하는 개나리는 암수딴그루다 아니다 라는 의견이 나뉜다. 정확히는 암술의 길이가 수술의 길이보다 긴 장주화, 암술의 길이가 수술의 길이보다 짧은 단주화가 존재하는데 한나무에서 한가지 꽃만 핀다. 개나리의 열매가 잘 맺히지 않는 이유는 종 자체의 특성이 결실률이 낮기 때문이다. 장주화와 단.. 2024. 1. 11.
해국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초롱꽃목 > 국화과 > 참취속 > 반목본성 초본.학명 : Aster sphathulifolius Maxim. 꽃말 : 순수한 사랑. 기다림. 바닷가 바위 겉에서 세찬 바람을 자극삼아 꽃을 피운다. 바닷바람 때문에 키가 크지 못하고 낮게 엎드려 꽃을 피운다. 다른 쑥부쟁이류에 비해 키가 작으면서 꽃이 크고 아름답다. 2023/6/9. 천리포 2023/9/23. 길상사 이야기 바닷가에서 행복하게 살던 부부가 사소한 일로 다투고 남편이 홧김에 배를 타고 나가버렸다.며칠이 지나도 돌아오지않자 아내와 딸이 바닷가 바위위에서 남편을 기다리다가 그만 파도에 휩쓸려 죽었답니다.남편이 돌아와 아내와 딸이 기다리던 자리를 보니 연보라색의 꽃이 피어 있는데, 그 꽃이 해국이.. 2024. 1. 3.
땅두릅(독활) 현화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목 > 두릅나무과 > 두릅나무속 > 다년생초. 학명 : Aralia cordata Thunb. 꽃말 : 나무가 아닌 풀이다. 전체에 털이 있다. 줄기는 가시가 없고 속은 비어 있다.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이다. 어린순은 식용한다. 산형꽃차례로 7~9월에 꽃이 피고, 장과로 10월에 검게 익는다. 뿌리는 섬유질이 많은 육질이며 독활(獨活) 이라 한다. 2020/9/12. 홍릉. 700d 2023/10/14. 홍릉. Mark2. 2021/2/22. 홍릉. 700d 2023. 10. 15.
참느릅나무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쐐기풀목 > 느릅나무과 > 느릅나무속 > 낙엽활엽교목. 학명 : Ulmus parvifolia Jacq. (종소명 parvifolia는 잎이 아주 작다는 뜻의 라틴어) 꽃말 : 위엄, 존경, 관용. 느릅나무에 비해 잎은 작으며 가장자리는 겹톱니가 아닌 외톱니 모양이다. 잎은 어긋나기로 두꺼우며 거꿀달걀상 타원형이며 표면은 윤채가 있다. 같은가지에서 윗쪽의 잎일수록 크다. 꽃은 잡성주로 9월에 피며 황갈색이고 수술은 4~5개이며 꽃밥은 자황색이다. 열매는 시과이며 종자는 중앙부가 타원형이고 9 ~ 11월 초에 익고 담갈색이며 종자는 날개 중앙에 있다. 중부이남에서 자란다. 2023/10/1. 망우역. 2023/9/30. 물의정원. 2023. 10. 1.
고슴도치풀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아욱목 > 피나무과 > 고슴도치풀속 > 한해살이풀. 학명 : Triumfetta japonica Makino 꽃말 : 모성애. 열매겉에 갈고리같은 가시로 덮혀있어서 고슴도치풀이라고 한다. 취산꽃차례, 8~9월에 황색의 꽃이 핀다. 꽃잎5개, 수술10개, 암술1개이다. 2023/9/15. 묘적사계곡. 850*566 2023. 9. 18.
서양등골나물 & 골등골나물. ▼서양등골나물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국화목 > 국화과 > 등골나물속 > 여러해살이풀 학명 : Eupatorium rugosum Houtt. 꽃말 : 망설임. 북아메리카가 원산이며 우리나라 각처의 산과 들에서 자라는 귀화식물이다. 높이 30~130cm안팎으로 자라며 한국에서 자생하는 등골나무보다 약간 작은 편이다. 줄기는 털이 거의 없으며 윗부분에만 조금 있을 뿐이고 한 군데에서 많은 대가 모여서 자란다. 잎은 마주나며 길이 2~10cm 너비1.5~6cm이며 달걀 모양을 한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잎가장자리에는 거칠게 뾰족한 톱니가 있고, 밑부분의 잎은 작으며 꽃이 필 때 없어진다. 8~10월에 꽃이 피고 꽃 색은 흰색이며 화관은 15∼25개이며 그 모양은 가늘고 긴 관 또는 통 모양.. 2023. 9. 3.
피칸트리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가래나무목 > 가래나무과 > 카리아속 > 큰키나무.학명 : Carya pecan 꽃말 : 피칸은 알곤킨어로 돌로 깨는 과일이란 뜻이다. (알곤킨어 : 캐나다 남동부와 미 북동부에 살던 아메리카 원주민의 언어로 영어와 프랑스어 등에 밀려 소멸위기) 북미 온대지역원산으로 키50m, 지름 2m에 달하는 큰나무다. 수피는 골이 깊다. 피칸생산은 미남동부의 중요한 산업으로, 날것으로 먹거나 달게 또는 소금에 절여 먹는다. 커피케이크 같은 페이스트리를 만드는데 쓰고 초코릿과 섞기도 한다. 사탕과자. 제과나 아이스크림에 많이 이용한다. 피칸오일식용유로 쓰기도 한다. 2023/8/26. 홍릉. 피칸 피칸파이 2023. 8. 28.
미국쑥부쟁이(중도국화) 속씨식물문 > 쌍자엽식물문 > 초롱꽃목 > 국화과 > 참취속 > 다년생초. 학명 : Aster pilosus Willd. 꽃말 : 그리움. 기다림. 춘천 중도에서 처음발견 된 북미원산으로 귀화식물이다. 국내에는 1980년대에 귀화되었다. 크기는 40~120cm이고 꽃은 아주 작고 원줄기에서 가지를 많이쳐 자란다. 1~2cm의 꽃크기로 8~10월에 핀다. 750×562 2023. 8.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