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초(목)543

서양등골나물 & 골등골나물. ▼서양등골나물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국화목 > 국화과 > 등골나물속 > 여러해살이풀 학명 : Eupatorium rugosum Houtt. 꽃말 : 망설임. 북아메리카가 원산이며 우리나라 각처의 산과 들에서 자라는 귀화식물이다. 높이 30~130cm안팎으로 자라며 한국에서 자생하는 등골나무보다 약간 작은 편이다. 줄기는 털이 거의 없으며 윗부분에만 조금 있을 뿐이고 한 군데에서 많은 대가 모여서 자란다. 잎은 마주나며 길이 2~10cm 너비1.5~6cm이며 달걀 모양을 한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잎가장자리에는 거칠게 뾰족한 톱니가 있고, 밑부분의 잎은 작으며 꽃이 필 때 없어진다. 8~10월에 꽃이 피고 꽃 색은 흰색이며 화관은 15∼25개이며 그 모양은 가늘고 긴 관 또는 통 모양.. 2023. 9. 3.
피칸트리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가래나무목 > 가래나무과 > 카리아속 > 큰키나무.학명 : Carya pecan 꽃말 : 피칸은 알곤킨어로 돌로 깨는 과일이란 뜻이다. (알곤킨어 : 캐나다 남동부와 미 북동부에 살던 아메리카 원주민의 언어로 영어와 프랑스어 등에 밀려 소멸위기) 북미 온대지역원산으로 키50m, 지름 2m에 달하는 큰나무다. 수피는 골이 깊다. 피칸생산은 미남동부의 중요한 산업으로, 날것으로 먹거나 달게 또는 소금에 절여 먹는다. 커피케이크 같은 페이스트리를 만드는데 쓰고 초코릿과 섞기도 한다. 사탕과자. 제과나 아이스크림에 많이 이용한다. 피칸오일식용유로 쓰기도 한다. 2023/8/26. 홍릉. 피칸 피칸파이 2023. 8. 28.
미국쑥부쟁이(중도국화) 속씨식물문 > 쌍자엽식물문 > 초롱꽃목 > 국화과 > 참취속 > 다년생초. 학명 : Aster pilosus Willd. 꽃말 : 그리움. 기다림. 춘천 중도에서 처음발견 된 북미원산으로 귀화식물이다. 국내에는 1980년대에 귀화되었다. 크기는 40~120cm이고 꽃은 아주 작고 원줄기에서 가지를 많이쳐 자란다. 1~2cm의 꽃크기로 8~10월에 핀다. 750×562 2023. 8. 28.
쑥부쟁이 & 까실쑥부쟁이 피자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초롱꽃목 > 국화과 > 여러해살이풀. 학명 : Aster yomena 꽃말 : 그리움. 기다림. 인내. 원줄기가 처음 나올 때는 붉은빛이 돌지만 점차 녹색 바탕에 자줏빛을 띤다. 뿌리에 달린 잎은 꽃이 필 때 진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고 바소꼴이며 가장자리에 굵은 톱니가 있다. 겉면은 녹색이고 윤이 나며 위쪽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진다. 꽃은 7∼10월에 피는데, 설상화(舌狀花)는 자줏빛이지만 통상화(筒狀花)는 노란색이다. 두화는 가지 끝에 1개씩 달리고 지름 2.5cm이다. 총포는 녹색이고 공을 반으로 자른 모양이며, 포조각이 3줄로 늘어선다. 열매는 수과로서 달걀 모양이고 털이 나며 10∼11월에 익는다. 관모는 길이 약 0.5mm로서 붉은색이다. 번식은 종자나 포.. 2023. 8. 28.
눈개승마(삼나물)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장미과 > 눈개승마속 > 다년생초.학명 :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Maxim.) H. Hara꽃말 : 산양의 수염. 잎은 노루오줌과 비슷하며 눈이 하얗게 쌓였을때 제일 먼저 땅을 뚫고 올라온다는 뜻에서 유래.누워 자라는 개승마라는 뜻으로 소고기맛, 두릅맛, 인삼맛의 세가지 맛이 난다하여 삼(三)나물, 또는 인삼의 잎을 닮았다해서 삼(蔘)나물로 부르기도 한다.  사포닌함량 많음. 북온대지역이 원산지이며 그중에서도 특히 나무가 많은 산악 지대에서 많이 자란다. 키는 1.2~1.8m까지 자라며, 잎은 깃털처럼 생긴 겹잎으로 길이가 50 ㎝에 이른다. 꽃은 5~7월 암수딴포기로 피며 흰색으로 작고 꽃자루가 없으며 8~10송이씩 잎이 달.. 2023. 8. 28.
처녀치마 이야기 속씨식물 > 외떡잎식물강 > 백합목 > 백합과 > 처녀치마속 > 다년생초.학명 : Heloniopsis koreana Fuse & N.S. Lee꽃말 : 절제. 기세. 활달. 순결. 청초함. 잎이 땅바닥에 사방으로 둥글게 퍼져 있는 모습이 옛날 처녀들이 입던 치마와 비슷하다.생명력이 강해 꽃은 봄에 피지만 잎은 겨울에도 땅바닥에 퍼져 추위와 눈보라를 견딘다. 4월초부터 계속적으로 개화하는 특성이 있다. 초기에 피는 꽃은 아직까지 기온이 높지 않은 상태이므로 주변 환경의 낮은 기온에 적응하기 위해 꽃대가 낮게 개화하나 점차로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꽃대가 점점 높이 자라 약 50cm에 이르는데, 이것은 종자가 결실한 후 바람에 의해 가능한한 종자를 멀리에까지 전파시키기 위함이다. 2023/3/24 .. 2023. 8. 27.
오리방풀 피자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통화식물목 > 꿀풀과 > 산박하속 > 다년생초. 학명 : Isodon excisus (Maxim.) Kudo 꽃말 : 추억 잎의 모양이 오리를 닮았다고 해서 오리방풀이라는 설이 있다. 우리나라 각처의 산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습기가 많고 반그늘이며 토양이 비옥한 곳에서 자란다. 6~8월에 자주색 꽃이 원줄기 끝에서 마주난다.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꿀풀과에 속하며 어린순은 식용하는데 박하향이 은은하게 난다. ‘산박하’에 비해 잎이 3갈래로 되고 중앙열편이 꼬리 모양이다. 참고 : 잎이 거북의 꼬리를 닮고 긴 꽃대에 자주색꽃?. 유사종 • 흰오리방풀 : 백색 꽃이 핀다. • 지리오리방풀 : 잎의 나비가 길이보다 길다. • 둥근오리방풀 : 톱니가 넓은 치아상이다. 202.. 2023. 8. 23.
배초향 피자식물문 > 쌍자엽식물강 > 꿀풀목 > 꿀풀과 > 배초향속 > 한해살이풀. 학명 : Agastache rugosa (Fisch. & Mey.) Kuntze 꽃말 : 향수. 향기. 사방으로 꽃이 핀다. 잎이 향유와 꽃향유의 혼합형태로 조금 더 크며 심장형이다. 줄기가 네모진다. 한방에서 곽향이라하여 약재로 쓰이며 향신료로도 쓰인다. (향유, 꽃향유) 2020/9/12. 홍릉. 850*565. 2018/7/28. 강씨봉 850*566 2016/9/5. 추읍산. 850*566 2023. 8. 23.
향유와 꽃향유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꿀풀목 > 꿀풀과 > 향유속 > 다년생초.  학명 : Elsholtzia splendens Nakai ex F.Maek.    꽃말 : 가을의 향기. 조숙, 성숙. 식물체에 기름기가 많고 꿀이 많은데다 향기가 좋아서 향기나는 식물이라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이다.  향유는 한쪽방향으로 꽃이 피며 꽃향유보다 꽃이적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길쭉하다. 줄기에 잔털이 있다.원변종인 층층이꽃에 비해서 전체가 붉은빛을 띠지 않고 녹색이며, 꽃은 옅은 보라색을 띤 흰색이고, 꽃받침에 짧은 샘털이 나므로 다르다.잎차례는 마주나기인데 잎은 계란형이고 잎끝이 뾰족하며 늦여름부터 초가을에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이삭이 연한 홍자색 입술모양 작은꽃이 한쪽방향으로 이삭을 이루며 핀다. 양지와 음지의 경계에 .. 2023. 8.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