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의 고향54

화서 이항로 경기도 양평군 서종면 노문리 535-7번지. 368지방도로 양수리 - 7km지점 - 서종면- 6.6km - 수입교건너우회전 - 13km지점 - 노문리 화서기념관(생가) 화서 이항로(華西 李恒老)- (1792 (정조16년) - 1868(고종5년)) 실학자. 조선조 18~19세기 군사적위협과 실학의 대두, 동학의 발생, 서학의 전래 혼란속에서 이를 극복.. 2010. 8. 4.
6.25사진전 6.25동란 60주년을 맞이하여 정비된 세운상가 옛자리에서 사진전을 열고있다. 2010. 4. 15.
단성사 단성사 자리는 원래 보두청 있던 자리 원동 모기는 계동 모기와 안놀고 이촌동은 수해로 지긋지긋했지… 조선시대 모습 사라지기 시작한 100년전 서울 `그때 그 모습` 1900년대 초 남대문대로 광통교에서 남대문까지 이어지는 길. <사진 제공=푸른역사> "원래 좌포청 터로 말하면 퍽 광활하여 지금 .. 2010. 1. 17.
잉카제국 왜 허망하게 무너졌나? (북월드) 잉카 최후의 날. 킴 매쿼리 지음/ 최유나 옮김/ 32,000원 작가이며 인류학자 다큐제작자인 짐 매쿼리가 페루에 5년이상 머물며 집필한 잉카 최후의 날은 잉카멸망사를 승자의 눈이 아닌 잉카와 스페인 양측의 시각에서 동등하게 바라보며 새롭게 재 조명한 역작이다. 잉카를 정복한 스페인들은 .. 2010. 1. 9.
경희궁 경희궁 정문인 흥화문의 원래자리는 현재 구세군회관이 위치해 있다.(아래사진) 2009. 9. 2.
동대문 2009. 9. 2.
종각 2009. 9. 2.
복원전시 된 전차. 머지않은 옛날, 서울 한복판을 운행하던 전차다. 급격한 세월의 변천과 발전으로 전차가 움직였다는 사실도 기억에서 사라질만큼 환경이 바뀌었다. 종로통 아스팔트를 걷어내면 전차가다니던 레일이 그냥 묻혀있을 것이다. 낡은 철판의 옛 전차를 재정비하여 서울역사박물관앞에 전시해 놓았다. 옛.. 2009. 8. 1.
망우산에 잠든 옛 인물들. 망우리공동묘지로 알려져있는 이곳 망우산엔 유명한 많은 문인및 독립운동가들의 넋이 잠든 곳이기도 하다. 현재는 공원화 하기 위해 장묘및 개장작업도 못하게 규제하여서인지 이장작업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시민의 휴식처로, 역사적 인물들을 만날수있는 장소로, 또한, 망우산 용마산 아차산을 .. 2009. 7.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