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초(목)546

누리장나무.(취오동(臭梧桐))(개똥나무)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통화식물목 > 마편초과 > 누리장나무속 > 낙엽관목. 학명 : Clerodendron trichotomum 꽃말 : 친애, 깨끗한 사랑. 잎은 마주나며 잎 뒤에 있는 희미한 선점(腺點)들 때문에 고약한 냄새가 난다. 잎자루에는 털이 잔뜩 나 있다. 꽃은 통꽃으로 8~9월에 가지 끝에 취산(聚繖)꽃차례를 이루며 무리지어 피는데, 연한 분홍색의 꽃부리가 5갈래로 갈라졌다. 수술과 암술은 갈라진 꽃부리 밖으로 나와 있다. 열매는 핵과(核果)로 10월에 진한 남빛으로 익고 붉은색으로 변한 꽃받침 위에 달린다. 7월에 어린잎을 따서 나물로 먹는다. 가을에 잔가지와 뿌리를 햇볕에 말린 것을 해주상산(海州常山)이라고 하는데, 한방에서는 기침· 감창(疳瘡)을 치료하는데 쓴다. 추위에 잘 .. 2013. 9. 12.
미국가막사리 & 도깨비바늘. ◆ 미국가막사리현화식물문 > 목련강 > 국화목 > 국화과 > 도깨비바늘속 > 한해살이풀.학명 : Bidens frondosa L.꽃말 : 알알이 영근사랑. 습기를 좋아해 논뚝이나 천변에 무리지어 자란다. 생태교란종이다.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사각형이며, 높이 100-150cm이다. 줄기 속은 흰색이며, 겉은 붉은 갈색이 돈다. 잎은 마주나며, 작은잎 3-5장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끝이 길게 뾰족하고 잎자루가 있다. 잎 가장자리는 톱니가 있다.꽃은 가지와 줄기 끝에 머리모양꽃차례가 원추상으로 달리며, 노란색이다. 열매는 수과이며, 주걱 모양으로 길이 6-7mm, 끝에 2개의 까락이 있다. ~~~~~~~~~~~~~~~~~~~~~~~~~~~~~~~~~~~~~~~~~~~~~~~~~~~~~~~~~~~.. 2013. 9. 11.
미역취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초록꽃목. 국화목 > 국화과 > 미역취속 > 다년생초.학명 : Solidago virgaurea subsp. asiatica꽃말 : 경계, 예방. 나물을 무치면 미역 냄새가 나고 잎을 삶으면 미역처럼 미끌미끌하다.국을 끓이면 미역같은 효과가 있다고 하여 '미역취'라는 이름이 붙었다.키는 50cm정도.잎은 어긋나고 줄기밑에 달리는 잎은 꽃이 필 때쯤 말라 없어진다.줄기위에 달리는 잎은 난형이며 잎자루가 있으나 위로 올라갈수록 잎자루가 짧아져 없어진다.잎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노란색의 꽃이 7~8월에 두상꽃차례를 이루며 1송이의 꽃처럼 보이는데 이러한 꽃차례들이다시 이삭꽃차례처럼 모여있다.열매는 수과로 익으며 갓털이 달려있다.어린순은 나물로 하며 한방에서는 전체를 말려서 건위제.. 2013. 9. 10.
수리취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국화목 > 국화과 > 수리취속 > 다년생초.학명 : Synurus deltoides (Aiton) Nakai꽃말 : 장승. 산에서 자라며 키가 1m에 달한다. 줄기에는 세로로 줄이 있으며 흰털이 밀생한다.잎은 뿌리에서부터 줄기로 어긋나면서 올라가는데 표면에 꼬불꼬불한 털이 있고뒷면에는 부드러운 흰털이 촘촘히 나 있으며 잎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다.9~10월에 지름 5cm정도의 자색꽃이 원줄기 끝이나 가지끝에서 밑을 향해 달린다.6종이 동아시아에 분포하는데 우리나라엔 3종이 있으며 수리취는 큰수리취와 매우비슷하다. 2016. 명성산. 설악산. 2017. 9. 화악산. 2013. 9. 10.
일엽초 & 고란초 & 석위. ▼일엽초양치식물 > 고사리강 > 고사리목 > 고사리과 > 상록다년초.(칠성초. 골비초) 줄기는 길게 옆으로 뻗고 버들잎닮은 잎이 하나씩 돋아나기 때문에 일엽초라한다.습기가 있는 바위나 나무에서 자란다. 홀씨주머니는 잎뒤의 주된 잎맥양쪽에 규칙적으로 줄지어 생겨나며 둥글고 노랗다. 뿌리줄기를 포함한 모든부분을 약재로 쓴다. 여름철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쓴다.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평하며 독은 없다.간경,신경에 작용하며 열을 내리고 독을 풀며 혈액순환을 좋게하고 염증을 삭이며 오줌을 잘나오게 하고 출혈을 멎게하는 등 약리작용이 있다. 혈액순환, 이뇨작용, 신경통, 요도염, 신장염,방광결석, 신장결석, 부종,임질, 대장염, 이질등에도 쓴다.   중원산.  흘림골에서... 석화산                 7.. 2013. 9. 9.
꼭두서니.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용담목 > 꼭두서니과 > 꼭두서니속 > 덩굴성다년생초. 학명 : Rubia akane Nakai꽃말 : 미태 (아름다운 자태) 뿌리를 끓인물로 천이나 나무를 꼭두색(붉은색)으로 물들이는 식물이라 붙은 이름이다.뿌리가 수염뿌리처럼 가늘고 길며 붉은색이 도는 노란색이다.네모진 줄기는 덩굴성이고 밑을 향해 가시가 달렸다. 그늘진곳에서 더 잘 자란다.잎은 4장이 모여나고 잎자루가 길다.꽃은 연한 노란색이며 7~8월에 원추꽃차례로 무리지어 핀다.통꽃으로 피나 꽃부리의 끝은 4`5갈래로 갈라진다.열매는 둥글고 2개씩 달리며 검은색으로 익는다. 4월에 어린순으로 나물을 하는데 쓴맛이 있으므로 삶아서 잘 우려내는것이 좋다.기름에 튀기거나 볶을때는 데쳐서 우려내지 않아도 쓴맛이 강하지않아.. 2013. 9. 6.
꿀풀(하고초). 속씨 > 쌍떡잎식물강 > 통화식물목. 꿀풀목 > 꿀풀과 > 꿀풀속 > 다년생초.학명 : 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 Nakai꽃말 : 추억. 꿀풀은 깨꽃과 같이 꿀이 많아 꿀풀이라고 불리우는데 사실 벌들이 많이 찾아온다.흰색 꽃이 피는 것을 흰꿀풀, 빨간색 꽃이 피는 것은 빨간꿀풀이라고 부른다. 여름에 이삭이 시들째 채집한 후 햇볕에 말려서 약으로 쓰이는데  쓰고 맵고 차가운 특징을 가지고 있다. 달여서 마시거나 즙으로 만들어서 복용한다.임파선암, 유방암, 갑상선종, 유선염에 효과가 있으며 꽃과 줄기까지 모두 차나 효소로하여 약재로 활용한다.   750*562 2013. 9. 6.
강아지풀. 속씨식물문 > 외떡잎식물강 > 벼목 > 벼과 > 1년생 잡초. 학명 : Setaria viridis (L.) P. Beauv. var. viridis 꽃말 : 동심, 노여움. 흉년이 들었을 때 굶주림에서 벗어나기 위해 농작물 대신 심는 구황식물(救荒植物)로 알려져 있다. 뿌리에서 몇 개의 줄기가 곧추서서 나온다. 잎은 마디마디에 1장씩 달리며 길이는 5~20㎝, 나비는 0.5~2㎝ 정도이다. 연한 초록색 또는 자주색 꽃은 여름철에 줄기 끝에 달리는 이삭꽃차례에 모여 피는데, 꽃차례는 길이가 2~5㎝ 정도이고 모든 꽃에는 약간 긴 털들이 달려있어 강아지꼬리처럼 부드럽다. 들·밭·길가에서 흔히 자라는 식물로 구미초(狗尾草) 또는 낭미초(狼尾草)라고도 부르며 9월에 뿌리를 캐어 말려서 촌충을 없애는데 쓰기도 .. 2013. 9. 6.
멸가치.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초롱꽃목 > 국화과 > 멸가치속 > 다년생초.학명 : Adenocaulon himalaicum Edgew.꽃말 : 당신에게 모든것을 맡깁니다. 땅속줄기에서 하나의 줄기가 나와 곧추자라며 줄기밑에서는 잎이 모여나나줄기위로 갈수록 어긋난다. 키는 1m까지 자란다.꽃은 8~9월에 두상꽃차례를 이루고 이 꽃차례는 가지끝에 하나씩 달린다.꽃은 처음엔 흰색이다 점점 엷은 붉은색으로 된다.열매는 방사선으로 퍼지며 열매겉에도 둥그런 털들이 달려있다.잎자루 양쪽에 날개가 달려 있다.  습한곳에서 많이 자란다.봄에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숨이차고 기침을 멈추게 한다.   이뇨작용으로 몸이붓는것을 미리 막는다.어혈을 풀어준다.  기침. 천식. 산후복통. 수종. 소변불통에 효과가 있다.     .. 2013. 9.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