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초(목)546

닥 풀. 아욱목 > 아욱과 > 무궁화속 > 한해살이풀.학명 : Hibiscus manihot L.꽃말 : 유혹  닥나무로 한지를 제조할 때 섬유질을 견고하게 하는 풀로 사용한데서 유래한 것이다. 중국이 원산지로 한국 각처의 밭에서 재배하는 한해살이풀로 높이는 2m 까지 큰다. 전체에 털이 있고 뿌리는 점성이 있으며, 원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는 없다. 가시같은 거친 털이있다.잎은 어긋나며, 잎자루는 길고, 손바닥 모양으로 갈래는 피침형이다. 꽃은 연한 노란색, 중심부는 검은 자주색, 원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로 달리고, 포가 위로 갈수록 작아진다. 8~9월에 핀다.작은 포는 4-5장의 넓은 피침형이다. 꽃잎은 기와처럼 겹쳐지고, 많은 맥이 있고 수술은 단체 웅예, 암술대는 5개, 흑자색. 열매는 삭과로 긴 타원형, .. 2013. 10. 21.
피마자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쥐손이풀목 > 대극과 > 피마자속 >  한해살이풀.학명 : Ricinus communis  L.꽃말 : 단정한 사랑 종자는 타원형이고 밋밋하며 짙은 갈색 점이 있어 마치 새알 모양이고 독성인 리시닌이 들어 있다.종자에 34∼58%의 기름이 들어 있는데, 이 종자에서 짜낸 피마자유는 설사약·포마드, 도장밥, 공업용 윤활유,  페인트, 니스를 만드는데 쓰이며 인조가죽과 프린트잉크제조, 약용으로도 사용한다.잎은 삶아서 식용한다. 특이한 냄새가 조금 있고 식물성기름맛이 나며 맛은 달고 매우며 성질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평하며 독이 있다.피마자는 염증을 제거하고 독을 뽑아내 변으로 내보내는 효능이 있어 종기, 초기 옴, 버짐, 악창, 경부림프절 염, 변비, 소변이 나오지않는 증상.. 2013. 10. 21.
풍접초 현화식물문 > 목련강 > 풍접초목 > 풍접초과 > 풍접초속 > 한해살이풀. 학명 : Cleome spinosa 꽃말 : 불안정 아메리카 원산이다. 족도리풀, 백화채라고도 부른다. 원래 이름은 "클레오메"다. 키는 1 미터 남짓이며, 줄기는 곧게 서며 털과 잔가시가 난다. 잎은 어긋나고 손바닥 모양 겹잎이며, 작은 잎은 5~7개인데 긴 타원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다. 꽃은 8~9월에 피고 붉은색이거나 보라색 또는 흰색이며 원줄기 끝의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수술이 네 개인데 꽃잎보다 2~3배 길게 뻗어 나온다. 열매는 삭과(朔果)로 길이 11 센티미터 정도이며 가늘고 아래로 늘어진다. 구리한강시민공원... 2013. 10. 21.
야산고비. 양치식물문 > 고사리강 > 고사리목 > 면마과  > 야산고비속 >  다년생 양치식물.학명 : Onoclea sensibilis var. interrupta Maxim.꽃말 :    뿌리줄기가 옆으로 기며 자라고, 잎은 광합성을 하여 양분을 만드는 영양잎과 포자를 만드는 생식잎 2가지로 이루어져 있다. 영양잎은 속씨식물의 잎처럼 생겼으며 길이는 30~60㎝로 날개깃처럼 갈라져 있고 가장자리는 물결처럼 생겼다. 이에 비해 생식잎은 가늘게 생겼으며 포자낭이 2줄로 나란히 달려 있다. 이른봄에 어린잎을 삶아 나물 또는 국거리로 먹는다.  고사리 중에는 고비고사리속(─屬Coniogramme), 쇠고비속(Cyrtomium) 및 손고비속(Colysis) 식물들처럼 이름에 '고비'가 들어가는 식물들이 있다. 고비속(O.. 2013. 10. 18.
꽃범의꼬리.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통화식물목 > 꿀풀과 > 다년생초.학명 : Physostegia virginiana꽃말 : 원산지는 북아메리카로 주로 배수가 잘 되는 곳에서 서식한다.꽃은 7~9월에 걸쳐 피고 보라색, 흰색 등이 있다.꽃잎 하나하나가 입을 벌리고 있는 범의 모습이고 전체의 꽃차례가 호랑이꼬리를 닮았다고해서 지어진 이름이다. 2013. 10. 2.
새모래덩굴.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미나리아재비목 > 방기과 > 새모래덩굴속 > 덩굴성 다년생초.학명 : Menispermum dauricum꽃말 : 웃는 아이의 모자. 적선. 풀밭이나 길가, 또는 산기슭에서 자란다. 줄기는 털이 없고 길이가 1∼3m이다. 잎 주맥의 밑 부분과 잎자루의 윗부분에 잔털이 있는 것을 털새모래덩굴(var. pilosum)이라고 한다.꽃은 암수딴그루이고 5∼6월에 노란 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 나온 꽃대에 원추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수꽃은 꽃받침조각이 4∼6개이고 꽃잎이 6∼10개이며 수술이 12∼20개이다. 암꽃은 암술이 1개이고 암술머리는 2개이며 3개의 심피로 구성된다.열매는 핵과이고 둥글며 9월에 검은 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편평하고 둥근 심장 모양이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 2013. 10. 2.
명아주 <는쟁이>. 현화식물 > 목련강 > 석죽목 > 명아주과 > 명아주속 > 한해살이풀.학명 : Chenopodium album L. var. centrorubrum Makino.꽃말 : 속임수. 거짓. 는장이라고도 하며 높이 1~2m 지름3cm에 녹색줄이 있다.잎은 어긋나고 삼각상 난형이며 어릴때 중심부에 붉은빛이 돌고 가장자리에 물결모양의톱니가 있다.꽃은 양성이고 황록색이며 이삭꽃차례에 밀착하여 전체적으로 원추꽃차례가 된다.열매는 꽃받침으로 싸인 포과이며 검은 종자가 들어 있다.어린순은 나물로 하고 생즙은 일사병과 독충에 물렸을 때 쓰는데 많이 먹으면 피부병을일으킨다. 흰명아주. 가는명아주. 버들명아주. 2013. 9. 23.
미국자리공.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석죽목 > 자리공과 > 자리공속 >  한해살이풀. 학명 : phytolacca americana꽃말 : 소녀의 꿈.  환희 독이 있는 뿌리는 겨자무의 뿌리를 닮았다. 흰꽃이 피고, 붉은빛이 도는 검은 장과(漿果)가 열린다. 잎에는 종종 붉은 맥(脈)이 있으며, 잎자루도 붉은색이다. 열매에는 포도주·사탕·옷감·종이 등을 물들이는 데 쓰는 붉은 염료가 들어 있다. 북아메리카 동부지방의 습지나 모래땅이 원산지이다. 다 자란 줄기는 뿌리처럼 붉은색 또는 자줏빛이 돌고 독성이 있지만 15㎝ 정도 자란 어린 줄기는 먹을 수 있다. 잎을 떼어낸 녹색의 부드럽고 어린 줄기는 껍질을 벗겨 서서히 끓여서 아스파라거스처럼 먹는다. 잎은 다른 푸른 채소들과 함께 요리하기도 한다.     2017.. 2013. 9. 21.
진득찰 쌍자엽식물강 > 초롱꽃목 > 국화과 > 진득찰속 > 1년생초.학명 : Sigesbeckia glabrescens Makino꽃말 : 요술. 신비. 끈적이는 액체가 있어 옷이나 동물털에 찰싹들러붙는다는 것에서 붙은 이름이다.줄기는 네모져 있고 누워 있는 털이 달리지만 잘 보이지 않는다. 키는 1m에 이른다.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는 잎은 마주나며 잎자루에 날개가 있다.노란색의 꽃은 8~9월경 줄기 끝에 서 두상(頭狀)꽃차례를 이루며 무리져 피는데, 마치 산방(繖房)꽃차례처럼 보인다.두상꽃차례에 5개의 총포(總苞)가 달려 꽃차례를 감싼다. 열매는 수과(瘦果)로 익는다.열매와 줄기는 한방에서 치풍제(治風劑)로 쓰거나 고혈압과 중풍의 치료에 쓴다.털진득찰(S. pubescens)도 진득찰처럼 열매와 줄기는 쓰지만.. 2013. 9.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