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대간 1정간 13정맥22

한북정맥 10지맥 한북10지맥(감악,명지연인,화악,오두,수락도봉,천마,명성,왕방) 백두대간 추가령에서 서남으로 갈라져나온 산줄기로 오서산, 적근산, 대성산, 광덕산 백우산, 국망봉, 강씨봉, 운악산, 수원산, 죽엽산, 불곡산, 도봉산, 북한산을 거쳐 서해에서 가라앉는다. 1.한북-감악지맥. 한북정맥상에 있는 한강봉(460m)에서 북서쪽으로 분기하여 436봉~느르미고개~은봉산(380m)~ 소사고개~팔일봉 어깨~노아산~개내미고개~세우게고개~스르네미고개~266봉~무건이고개~ 368봉~설머치고개~감악산(675m)~간패고개~마차산(588m)을 거쳐 3번국도 한탄강에서 그 맥을 다하는 약 4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2.한북-명지,연인지맥. 한북정맥상에 있는 강씨봉과 청계산 중간 890봉(귀목봉 갈림길)에서동쪽으로분기하여 귀목봉(1.. 2012. 11. 29.
백두대간 29지맥. 도솔. 두위. 금대. 노목. 덕유. 문수(용암). 자개. 자구. 국사. 각화. 황병. 등곡. 계명. 운달. 신선. 숭덕. 작약. 기양. 팔음. 각호. 연비. 수도지맥(양각.금오-(칠봉). 낙동정맥-육백.안일. 진양기맥(우봉.정수). 만월 (견두.웅석.향로.양각). 1.백두-도솔지맥(兜率枝脈). 도솔지맥(兜率枝脈)은 백두대간이 금강산 비로봉(1639m)에서 남진하여 20.4km를 내려와 매자봉(1144m)에서 우측으로 한줄기를 떨구고, 좌측으로 크게휘어 동해안쪽으로 내달리며 무산(1319.7m)을 지나고, 남한땅으로 넘어와 향로봉(1287.4m)을 일구고 설악산에 이른다. 매자봉(1144m)에서 우측으로 가지친 한줄기는 남진하며 매봉(1290.6m),가칠봉(1242.2m), 대우산(1178.5m), 도솔산.. 2012. 11. 29.
#10.한북정맥(漢北正脈) (수피령~오두산 169.6km) 한북정맥(漢北正脈) 한북정맥은 북쪽으로는 임진강과, 남쪽으로는 한강의 분수령이 된다. 漢北正脈 백두대간(白頭大幹)의 추가령에서 서남으로 갈라져 백암산· 양쌍령(兩雙嶺)· 적근산(赤根山)· 대성산(大成山)· 수피령(水皮嶺)· 광덕산(廣德山)· 백운산· 국망봉(國望峰)· 강씨봉(姜氏峰)· 청계산· 현등산(懸燈山)· 죽엽산· 도봉산· 노고산· 현달산(峴達山)· 고봉산· 장명산(長命山) 등으로 이어지는 산줄기이다. 강원과 함경남도의 도계를 이루는 평강(平康)군의 추가령(楸哥嶺)에서 서남쪽으로 뻗어 한강과 임진강의 강구(江口)에 이르는 산줄기의 옛 이름. 한반도 13정맥의 하나로 동쪽은 회양(淮陽)· 화천· 가평· 남양주 등의한강 유역이 되며, 서쪽은 평강· 철원· 포천· 양주 등의 임진강 유역이 된다. 한북정맥.. 2012. 11. 29.
#9.한남정맥(漢南正脈).(칠현산~문수산 176.3km) 한남정맥(漢南正脈) 한남정맥은 한강유역과 경기 서해안 지역을 분계(分界)한다. 한남정맥/漢南正脈 백두대간의 속리산에서 시작된 한남금북정맥(漢南錦北正脈)이 안성 칠장산(七長山)에서 한남·금북으로 갈라져 서북쪽으로 김포 문수산(文殊山)에 이르는 산줄기의 옛 이름이다. 《산경표》에서 규정한 1대간 1정간 13정맥중의 하나로, 한강 줄기의 남쪽에 있는 분수령이라 하여 한남정맥이라 부르며, 경기도의 한강 본류와 남한강의 남쪽 유역의 분수령으로 해발 100m 미만의 낮은 등성이의 연결로서 서쪽에 위치한 인천, 시흥, 안산 등의 산줄기를 만들다가 용인과 수원에 이르러 제법 큰 산세를 이룬다. 남쪽으로 금북정맥(錦北正脈)을 이루며 오산과 평택, 천안 등 아산만을 중심으로 한 해안평야와 경계를 만든 산줄기이다. 한남정맥.. 2012. 11. 29.
#8.금북정맥(錦北正脈) (칠현산~안홍진 279km) 금북정맥(錦北正脈) 금북정맥은 금강의 북쪽울타리이며, 한남정맥을 지나서 칠현산, 안성 서운산 등을 거쳐 태안반도로 들어 반도의 끝인 안홍진까지를 말한다. 금북정맥/錦北正脈 경기도 안성시 칠장산(七長山:492m)에서 태안반도(泰安半島)의 안흥진(安興鎭)까지 금강의 서북쪽을 지나는 산줄기의 옛 이름. 이 산줄기는 금강의 서북쪽을 지나므로 금북정맥이라 한 것이다. 이 산줄기를 분수령으로 하여 북사면으로는 안성천·삽교천이 흐르고, 남쪽 사면을 따라 흐르는 물은 금강으로 흘러든다. 연결되어 있는 주요산은 칠현산(七賢山, 516m)· 청룡산(靑龍山, 400m)· 성거산(聖居山, 579m)· 차령(車嶺)· 광덕산(廣德山, 699m)· 차유령(車踰嶺)· 국사봉(國師峰, 489m)· 백월산(白月山 혹은 飛鳳山, 560m.. 2012. 11. 29.
#7.한남금북정맥(漢南錦北正脈).(속리산~칠장산 152km) 한남금북정맥(漢南錦北正脈) 한남금북정맥은 한강과 금강을 나누는 분수령이다. 한남금북정맥/漢南錦北正脈 백두대간의 속리산(俗離山) 청황봉에서 갈라져 나와 충청북도 북부를 동서로 가르며 안성의 칠장산(七長山, 492m)까지 이어져 한강과 금강의 분수산맥을 이루며, 서북쪽으로 김포 문수산(文殊山)까지의 한남정맥과 서남쪽으로 태안반도 안흥까지의 금북정맥으로 이어지는 산줄기의 옛 이름. 조선시대 우리 조상들이 인식하였던 산줄기 체계는 하나의 대간(大幹)과 하나의 정간(正幹), 그리고 이로부터 가지친 13개의 정맥(正脈)으로 이루어졌다. 『산경표(山經表)』에 근거를 둔 이들 산줄기의 특징은 모두 강을 기준한 분수산맥으로 그 이름도 대부분 강 이름에서 비롯되었다. 이 정맥을 이룬 주요 산과 고개는 『산경표』에 속리산·.. 2012. 11. 29.
#6.금남정맥(錦南正脈).(주화산~부소산 128km) 금남정맥(錦南正脈) 금남정맥은 전주의 동쪽 마이산(667m)에서 시작하여 북쪽으로 대둔산(878m), 계룡산(828m)을 거친 후 서쪽으로 망월산을 지나 부여 부소산에서 끝납니다. 錦南正脈 금강의 남쪽 울타리. 금남호남정맥의 끝인 주화산(珠華山 560m)에서 북으로 금강과 나란히 올라가며 계룡산에 이르고 다시 서쪽으로 틀어 부여의 부소산 아래 백마강 조룡대에서 마감한다. 금강의 남쪽과 서쪽으로 만항강, 동진강의 분수령이 되어 자연히 군산을 중심으로 한 평야지방과 내륙지방을 양분하고 있다. 금남정맥을 이루는 주요 산은 주화산을 시작으로 연석산(925m), 운장산(1,125.9m), 인대산(666m), 대둔산(877.7m), 월성봉(650m), 바랑산(555m), 천마산(287m), 계룡산(845m), 부소.. 2012. 11. 29.
#5.호남정맥(湖南正脈) (주화산~백운산 433km). 호남정맥(湖南正脈) 호남정맥은 낙남정맥과 함께 우리 나라 남부 해안 문화권을 구획(區劃)하는 의미있는 경계선이다. 호남정맥은 산경표상, 모래재 북쪽 0.6km지점의 완주 주화산(이후로는 주화산을 조약봉으로 부름)에서 남북으로 호남정맥과 금남정맥으로 나뉘어 금남정맥은 북쪽으로 뻗고 호남정맥의 산줄기는 남쪽으로 뻗는다. 호남정맥은 전북지역을 지나는 동안 웅치, 만덕산(762m), 슬티, 경각산(660m), 오봉산, 내장산(763m), 백암산, 추월산(731m), 강천산(583.7m), 산성산 등을 일구고 전남지역을 지나면서는 무등산(1187m), 제암산(807m), 사자산, 일림산, 주월산, 조계산(884m), 백운산(1218m) 등을 일군다. 호남정맥은 그 이름처럼 호남땅의 16개 시군을 지나는 산줄기로 .. 2012. 11. 29.
#4.금남호남정맥(錦南湖南正脈)(영취산~마이산 65km) 금남호남정맥(錦南湖南正脈) 금남호남정맥은 금강과 섬진강의 분수령이며, 전북 장수 영취산에서 시작하여 진안 부귀산에서 끝난다. 금남호남정맥/錦南湖南正脈. 백두대간 장수 영취산에서 분기하여 북서쪽으로 63.3km를 뻗어가며, 무룡고개. 장안산. 수분령. 신무산. 팔공산. 성수산. 마이산. 부귀산을 거쳐, 완주의 조약봉에서 호남정맥과 금남정맥으로 나뉜다. 그러나 대부분의 산악인들은 금남호남정맥을 호남정맥에 포함시켜 장수 영취산에서 전남의 광양까지 462km를 종주를 하고 있다. 그러나 그렇게 종주를 하더라도 산경표에 따라 금남호남정맥의 66.1km를 별도로 나누어 정맥 하나로 쳤다. 금남호남정맥은 비록 짧은 산줄기이나 이곳에서 뻗어나간 아름다운 산들이 많고, 금강과 섬진강이 발원한다. 금남호남정맥은 호남정맥과.. 2012. 11.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