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나무의 학명은 Quercus인데 라틴어로 도토리(Acorn)가 열리는 나무(Oak)라는
뜻의 고유명사이다.
참나무집안의 가솔들이 전세계적으로 500여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 쟈생품종도
12개에 이른다.
♠낙엽성참나무(굴참. 상수리. 떡갈. 신갈. 갈참. 졸참) - 전국분포.
♠상록성참나무(가시. 종가시. 참가시. 졸가시. 개가시. 붉가시) - 제주도와 남부해안일대 분포.
침엽수의 타감작용에도 불구하고 참을 하나로 버텨서 줄을 줄 아는 나무라는 의미를 지닌다.
현존하는 지구상의 식물중에서 참나무가 가장 성공적으로 번식에 성공한 나무이기도 하다.
1>암수한그루로 (자웅동주) 풍매로 자가수분을 한다.
2>참나무혹벌(충영)과 참나무거위벌레와 공생하며 적과역활을 한다.
모내기철과 겹치는 개화시기에 가물고 바람이 많이 불면 수정률이 올라 도토리가 많이
달리게 되는데, 이때 곤충들이 부지런히 솎아내주지 않으면 열매들이 부실해져 허약한
자손을 생산하게 되어 곤충들은 더욱 바빠지게 되니 흉년이 되었을때 기근에 허덕이는
인간들까지 생각해주는 일을 한다고 봐야겠다.
3>그늘에 강한 활엽음수이다.
잎의 면적이 넓어 일조량이 부족한 환경에서도 광합성공장을 돌릴 수 있어 침엽수그늘
에서도 성장한다.
20년 이상이 되어야 열매를 맺는 성목이 될때까지 오로지 경쟁에서 살아남는 노력에만
집중한다.
바로 이 점이 숲의 천이과정에서 최종승자인 극상림이 될 수 있는 것이다.
4> 자웅동주이면서 자가수분을 한다.
5> 침엽수의 타감작용에도 참을성이 많은 나무이다.
▼ 신갈나무
- 울퉁불퉁민모자 (신갈, 갈참, 졸참). 도토리는 타원형으로 굵다.
(털모자 : 상수리, 굴참, 떡갈)
- 수피가 반질한 부분이 있다.
- 잔물결의 결각이고 잎자루가 없다.
▼ 떡갈나무
쌍떡잎식물강 > 참나무목 > 참나무과 > 낙엽활엽교목.
학명 : Quercus dentata Thunb
꽃말 : 붙임성이 좋다.
어린잎으로 떡을 싸서 쪄 먹기도 했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잎자루 없음. 털모자, 동그란 형태의 도토리.
참나무6형제중 가장 큰 잎이며 끝부분 뭉툭하고 가장자리는 부드러운 큰물결모양이다.
떡갈나무와 유사한건 갈참나무다, 갈참나무잎이 좀 작으며 수피가 지저분하며 골이 얕으다.
일본에서는 5월 5일 어린이날에 떡갈나무 잎으로 싼 떡을 먹는데
떡갈나무는 새로운 싹이 나올때까지 낡은 잎이 안 떨어져 자손의 번창을 상징한다고 한다.
떡갈나무잎을 냉장고나 신발장 안에 넣어두면 불쾌한 냄새를 제거하기도 한다.
◑ 시베리아용털모자 : 상수리, 굴참, 떡갈.
2023/07/14.
2023/7/29. 홍릉
'야생초(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갈등을 초래한 칡과 등나무. (0) | 2021.01.01 |
---|---|
참나무6형제(굴참-상수리) (0) | 2020.12.29 |
참나무6형제 (갈참-졸참) (0) | 2020.12.29 |
덜꿩나무 & 가막살나무. (0) | 2020.12.29 |
극락조화 (0) | 2020.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