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초(목)

등 칡

by 江山 2020. 5. 21.

속씨식물물 > 쌍자엽식물강 > 쥐방울덩굴목 > 쥐방울덩굴과 > 쥐방울덩굴속 > 낙엽덩굴성목본.

학명 : Aristolochia manshuriensis

꽃말 : 가무.

 

다른 나무를 타고 올라가는 모양은 등나무와 같으나 잎을 보면 칡처럼 생겨서 등칡이란

이름이 붙여졌다.  암수딴그루이다.

또 초본식물인 쥐방울덩굴과 열매가 닮았으나 더 크다 하여 큰쥐방울덩굴이라고도 한다.

등나무와는 전혀 다른 식물이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깊은 산 계곡에서 자란다.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덩굴은 10m 정도까지 자라고 햇가지는 녹색이지만 2년생의 가지는 회갈색이다. 

어긋나는 잎의 잎몸은 지름 10~25cm 정도의 원형으로 심장저이며 잎겨드랑이에 1개씩,

표면에 털이 없다. 

잎자루는 길이 7cm 정도로 털이 없다. 5~6월에 개화하며 화병은 길이 2~3cm 정도이고 

섹소폰처럼 생긴 꽃은 길이 10cm 정도로 U자형으로 꼬부라지며 겉은 연한 녹색, 

안쪽 중앙부는 연한 갈색이다. 

바나나처럼 생긴 열매는 삭과이며 길이 10cm, 지름 3cm 정도의 긴 타원형으로 6개의

능선이 있고 털이 없으며 9~10월에 익는데 먹을 수 없다. 

‘쥐방울덩굴’과 달리 목본으로 오래된 줄기에 코르크질이 발달,   관상용으로 심는다.

(등칡은 사향제비나비의 먹이,   쥐방울덩굴은 꼬리명주나비의 먹이)

 

관속식물이다

(식물전체에 물과 미네랄을 전달하기 위해 목질화 된 조직이 있는 육상식물)

 

강심제, 강화, 거질, 구내염, 복통, 사독, 신경쇠약, 신장쇠약, 요독증, 이뇨, 종독, 주독,

진통, 진해, 창저, 천식, 청혈, 치열, 치질, 통경, 하유, 해독, 해열, 현기증. 

유독성 식물이다.                                                                    <<식물생태도감>>발췌

 

 

 

 

     2020/5/4.   설악동소공원.         1600*1066

 

 

 

 

 

 

 

 

 

 

 

 

 

 

 

 

 

 

2021년 5/14   홍릉

 벌써 꽃은 지고 씨방이 달려 있다.

 

 

 

 

 

 

   850*566      700d        2022/4

 

 

 

 

 

'야생초(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도승마 (백운산)  (0) 2020.09.16
20/9월의 홍릉수목원.  (0) 2020.09.12
나팔꽃 & 메꽃  (0) 2019.12.15
대나물  (0) 2019.10.29
참닻꽃  (0) 2019.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