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따라 물따라...

천리포수목원과 민병갈.

by 江山 2023. 6. 11.

2023. 6. 9. 금  날씨가 좋다.
2000년에 국제수목학회(IDS: International Dendrology Society)가 세계에서 12번째, 

아시아에서는 최초로 '세계의 아름다운 수목원'으로 인증한 곳으로 늘 궁금했던 차에

느닷없이 떠나보기로 한다.

서산앞바다까지 가는 길이 200km도 채 되지않는 거리인데 처음가는 길은 4시간이나

소요되는 먼 길이었다.

만리포를 지나 천리포의 해변에 위치한 천리포수목원은 1979년에 한국인으로 귀화한

민병갈(Carl Feriss Miller, 1921∼2002)에 의해 40여년 동안 정성을 쏟아 일궈낸 최초의

사립수목원이다.
국내에서 최다 식물종 (2022년 10월 기준 16,830 분류군)을 보유하고 있다.
그 중 목련은 전 세계 1000 분류군 중 목련 871 분류군을 보유하여 4월경에는 다양한

목련꽃을 만나볼 수 있다.
 
나로선 전문가가 못되다보니 그냥 둘러보는것으로 임무를 충실히 하는일이 되겠다.
그러나 기대가 컷던 때문일까 뭔가 아쉬움이 있으나 개인이 꾸며놓은 공간이기에

위대한 재산이 되었으리라.
친 자연주의를 주장하여 가지치기를 하지않고, 화학비료를 쓰지 않으며,

농약을 치지않는 원칙을 고수했으며한국인보다 더 한국을 사랑했던 고 민병갈박사님, 

홀로이 살다 2002년 81세의 나이로 목련꽃이 피는 시절에 목련나무아래 고이 잠든

님을 추모하며 붉은 노을속에 님을 그려봅니다.
 
 
 

 

 

 
  ▼멸종위기식물원

 

 
  ▼다시 태어나면 개구리가 되고 싶어 했다는 민 원장.
   마치 그가 환생한 것처럼  묘하게 연잎위에 ...... 

   사실 숲속엔 꼭같은 개구리가 자주 보여 분명 개구리로 환생했음을 증명하는 듯했다.

 

 
 ▼후박나무.(지방분해와 가스제거에 효과)

 
  ▼꽝꽝나무

 

  ▼창경궁식물원의 꽝꽝나무.      2024/12/7.      1200*800

 
 

  ▼설립자 민병갈동상.

 

 
  ▼천리포모래사장.

 
  ▼닭섬으로 불리우던 낭새섬.

   조수간만의 차로 섬과 이어졌다 떨어지는 모세현상을 볼 수 있다. 

 
  ▼천리포구

 

 

 

 


  ▼삼색참중나무

 

 
 

 

 
  민병갈의 목련나무는 6월인 지금 꽃망울을 터뜨릴 준비가 한창이었다.

 

 
  ▼털모과

 
  ▼안개나무

 
  ▼닭섬과 바다가 보이는 소사나무카페.

 

 

 

 
  ▼갯메꽃

 
  ▼뭍닭섬에서 보는 천리포와 수목원전경.

 
  ▼뭍닭섬에서 보는 만리포.

 
  ▼뭍닭섬에서 바라 본 지는해와 노을.

 
 
 

'산따라 물따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또 찾아간다, 남한산으로...  (1) 2023.06.25
임산폭포/가평  (0) 2023.06.18
6월을 함께 살아가는 식생들.  (1) 2023.06.03
나도제비란(방태산)  (0) 2023.05.21
5월의 홍릉산림원.  (0) 2023.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