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자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장미목 > 장미과 > 마가목속 > 낙엽활엽소교목.
학명 : Sorbus commixta Hedl.
꽃말 : 게으름을 모르는 마음. 부지런함.
봄에 돋는 새싹이 말의 이빨처럼 튼튼해서 지어진 이름이 마아목(馬牙木)인데
이것이 음이 변하여 '마가목' 이라고 부른다.
높이는 대략 6~8m까지 자란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잔가지와 겨울눈에 털이 없고 겨울눈은 긴 타원형으로
끈끈한 성질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깃꼴겹잎이며 9~13개의 작은잎은 피침형~긴 타원형으로
잎의 끝은 길고 뾰족한 톱니가 있다.
작은잎 양면에는 털이 없고 뒷면은 연녹색이다.
가지 끝에 겹산방꽃차례에 흰색 꽃이 모여 핀다.
꽃차례에는 털이 없으며 꽃은 지름 8~10mm이고 암술대는 3개이다.
콩알 만한 둥근 열매는 여름에 노란색이었다가 가을에 붉은색으로 익는다.
가운데 잎맥에 길고 가는 갈색털이 있는 것을 녹마가목, 작은잎이 13~15개이고
뒷면에 흰빛이 도는 것을 당마가목이라고 부른다.
뭉쳐나는 흰꽃이 아름답고 가을에 붉은 열매송이의 모습이 대단히 아름다워서
관상수로 인기가 좋다.
마가목의 다른 이름은 천산화추(天山花楸, 화추:花楸: 신강중초약수책), 마아목(馬牙木),
정공등(丁公藤), 마가목 등으로 부른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잔가지와 겨울눈에 털이 없고 겨울눈은 긴 타원형으로
끈끈한 성질이 있다.
가래를 삭이고 기침을 멈추며 협압을 낯추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한다. 기침과 고혈압병
초기에 쓴다. 또한 비타민C 가 들어 있으므로 괴혈병의 예방 치료에도 쓴다.
가루내어 한번에 10그램씩 하루 3번 먹는다.
마가목은 신허와 풍비 습비 기침 등을 낫게 하고 머리칼을 검게 하며.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어린 가지와 질의 맛은 쓰며 성질은 차고 독이 없다. 폐열을 없애고 기침을 멈추게 한다.
비를 보양하고 진액을 생성하는 효능이 있다.
▶부종 완화.
마가목은 부종을 가라앉히고 나아가 예방까지 도와준다.
마가목 열매를 물에 넣어 끓여서 차로 하루에 2회 정도 섭취해주시면 좋다.
▶폐결핵 증세 완화.
마가목의 줄기와 껍질을 물에 넣고 끓여서 수시로 섭취해 주시면 도움이 된다.
▶만성기관지염 치료.
마가목으로 만든 환을 만들어 먹으면 특히 거담 및 진해에 탁월한 마가목의효능이 있다.
▶요도염 치료.
마가목의 줄기 및 껍질을 끓여서 자주 복용하면 마가목의 효능으로써 요도염을 치료한다.
▶손발저림 예방.
손발이 저린 증상은 몸의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므로 이럴때 마가목의 줄기나 껍질을 물과 함께 끓여서 마시거나 술로 담궈서
먹으면 손발저림을 예방할 수 있다.
※ 마가목은 아프지 않은 사람이 먹었을 경우 변비나 위장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고 한다.
계방산 750×



▼홍천내면 석화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