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뀌 & 개여뀌
▼여뀌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석죽목 > 마디풀과 > 여뀌속 > 1년생초
학명 : Persicaria hydropiper
꽃말 : 학업의 마침
귀신을 물리치는 역귀에서 여뀌가 되었다는 설이 있다.
키는 80㎝에 이르며, 줄기에 털이 없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는 거의 없고 잎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이 달리는 가지는 얇은 막처럼 생긴 턱잎[托葉]으로 감싸여 있다.
연한 녹색 또는 연한 붉은색의 꽃이 6~9월경 가지끝이나 잎겨드랑이에 달리는
총상(總狀)꽃차례에 무리져 핀다.
꽃잎과 꽃받침잎은 구분되지 않는데 5장으로 이루어지고 수술은 6개, 암술은 2개이다.
열매에는 조그만 점들이 있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기도 하며 가을에 뿌리째 말린 것을 수료(水蓼)라고 하여
한방에서 해열제· 해독제· 지혈제· 이뇨제로 사용하며 잎과 줄기를 짓이겨 물에 풀어
물고기를 잡는데 쓰기도 한다.
잎은 매운맛을 가지므로 향신료를 만드는데 쓰인다.
물을 따라 씨가 퍼지기 때문에 물속에서도 자랄 수 있어 물높이가 고르지 않은 물가에서
흔히 자란다.
<<백과사전>>
종류.
여뀌. 흰여뀌. 개여뀌. 명아자여뀌. 이삭여뀌. 털여뀌. 기생여뀌. 가시여뀌. 장대여뀌. 산여뀌.
봄여뀌. 쇠뿔여뀌. 끈끈이여뀌 등등...
▼개여뀌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마디풀목 > 마디풀과 > 여뀌속 > 한해살이풀.
학명 : Persicaria blumei Meisn.
꽃말 :
빈터나 밭에서 흔히 자란다. 키는 20~50 센티미터 정도이다. 줄기는 털이 없고 적자색이 돈다.
밑 부분이 비스듬히 자라면서 땅에 닿으면 뿌리를 내리고 가지가 뻗어 곧게 자라 줄기가
여럿 모여 난 것처럼 보인다. 잎은 어긋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넓은 피침형 또는 피침형인데 양끝이 뾰족하고 길이 3~8 센티미터, 너비 1~2.5 센티미터쯤 된다.
꽃은 6~9월에 피며 줄기나 가지 끝에 조그만 꽃이 이삭 모양의 꽃차례에 촘촘히 모여 달린다.
열매는 수과로 흑갈색이며 달걀 모양에 세모지며 꽃받침에 싸여 있다.
여뀌 ;
장대여뀌 ; 달걀형 난상 피침이고, 잎자루가 짧다.
꽃이 성기게 달려있고 꽃차례는 선형이며 쳐지지않음.
바보여뀌 ; 장대여뀌처럼 꽃이 성기게 달렸으며 꽃차례는 쳐져있다.
연모가 턱잎보다 짧다. 매운맛이 없다.